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 />아는 기자, 아자. 정치부 정하니 기자 나왔습니다. <br /><br />Q. 정 기자, 어제 배현진 최고위원이 전격 사퇴한 후에 국민의힘 초선 의원 과반이 비대위 촉구 성명서에 이름을 올리고 비대위 전환 움직임도 빨리지고 있는데요, 대통령실의 의지가 담겼다고 봐야 합니까. <br /><br />대통령실 기류와도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배현진 최고위원의 전격 사퇴 배경에 비대위에 힘을 싣는 의원들, 체제 정비에 공감하는 대통령실과의 공감대 형성이 있었던 걸로 전해지고요. <br /> <br />조수진 최고위원도 막판까지 사퇴를 고심한 걸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초선 의원들은 비대위 전환을 촉구하는 연판장을 돌리며 일사분란하게 움직였거든요, 대통령실 기류를 읽고 발빠르게 행동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. <br /><br />Q. 주말 동안 조용히 지나갈 것 같지는 않은데 당내 움직임이 좀 있나요?<br /> <br />물밑에서는 숨가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비대위를 주장하는 일부 의원, 특히 친윤계 의원들이 최고위원 사퇴를 위한 일대일 설득 작업을 진행중입니다. <br /><br />Q. 현재까지 배현진 최고위원 한 명만 사퇴했잖아요. 몇 명이나 설득해야 비대위 체제로 간다는 겁니까? <br /><br />친 이준석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최고위원 전원이 사퇴해야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오지만, 친윤계 의원들은 1명만 더 사퇴해도 비대위 전환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비상상황시 비대위를 둘 수 있다는 당헌 96조를 근거로 들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최고위는 9명으로 구성되는데 이중 당원에 의해 뽑힌 선출직은 당 대표를 포함해 6명 입니다. <br /> <br />이준석 대표는 현재 당무가 정지됐고, 김재원 전 최고위원은 대구시장에 출마하며 사퇴했죠. <br /> <br />어제 배현진 최고까지 사퇴하면서 선출직 최고위원 3명 가운데 1명만 더 사퇴해도 최고위 기능이 상실된다는 주장입니다. <br /> <br />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, 당 대표가 지명한 최고위원 등 3명은 전당대회를 거쳐 선출된게 아니기 때문에 저렇게 선출직 최고위원 과반이 관두면 자리를 고수할 명분이 없다, 이런 해석인거죠. <br /><br />Q. 3명이 키를 쥔건데, 세 사람 입장은 어떤가요? 시청자들도 이준석계 김용태 최고위원은 끝까지 사퇴를 거부할 것 같고, 정미경 최고위원은 사퇴할지 궁금해하거든요. <br /><br />정미경 최고위원에 물어봤는데요, 사퇴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. <br /><br />정 최고위원은 이준석 대표가 잠시 당원권이 정지된 사고 상태에서 대표 제명 효과를 가져오는 비대위로 전환하는건 <br />원칙에도 양심에도 맞지 않다고 반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용태 최고위원도 꺾이지 않겠다며 사퇴 거부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조수진 최고위원만 가능성을 열어뒀는데요, <br /> <br />조 최고위원 측은 어제 전원 사퇴해야 비대위가 가능하다 말한 건 다른 최고위원도 설득해서 같이 가야하지 않겠냐는 의미였지 비대위에 반대한다는 취지는 아니라 했습니다. <br /><br />권성동 원내대표가 어제 채널A와 통화에서 비대위 전환에 공감한다고 한만큼 조 최고위원이 사퇴하면 비대위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<br />Q. 방금, 정미경 최고위원도 얘기했지만, 비대위로 갈 경우 이준석 대표는 사실상 대표직이 박탈되는데 이 대표가 가만 있을까요? <br /><br />이 대표는 아직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일각에서는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낼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잠행을 이어가고 있는 이 대표는 오늘 SNS에 사진을 올렸는데 공교롭게도 메뉴가 간장불고기 였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 이 대표가 장제원 의원과 안철수 의원을 간장에 빗댔던 만큼 조기 전당대회를 위한 비대위 전환 움직임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<br />Q. 사실 이번 비대위 논란은 권성동 직무대행의 문자 파동에서 비롯됐는데 권 대행은 어떻게 되는 겁니까? <br /><br />당내에서는 비대위로 가게 되더라도 원내대표직은 유지 하지 않겠냐는 게 중론입니다. <br /> <br />원내대표는 당원이 아닌, 의원들이 뽑는 일종의 반장 개념이라 비대위와는 별개라는 건데요, <br /> <br />의원총회를 통해 재신임 여부를 물을 가능성도 나옵니다.